고칼슘혈증(Hypercalcemia)이란?
고칼슘혈증(Hypercalcemia)은 주로 반려견과 반려묘에서 나타나는 질환으로써 고칼슘혈증은 용어 그대로 몸에 있는 칼슘이 높아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칼슘은 생물이 생활을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무기질 중 하나로써, 근육과 신경, 심장의 정상적인 기능에 필수적인 영양분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고칼슘혈증의 원인은 보통 칼슘은 거의 대부분이 뼈에 저장이 되는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화관과, 뼈, 신장, 부갑상선에 있는 호르몬인 PTH또는 비타민 D의 영향을 받는데요. 부갑상선기능 항진증이나 악성종양, 신질환 같은 증상으로 인해 기전조절에 문제 생겨 발생합니다.
이중 가장 발병율 원인이 가장 높은 기전조절의 문제는 악성종양에 의한 것으로 종양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과 종양에 의한 골파괴로 인해 세포내의 칼슘농도가 증가하는 반면, 신장으로의 칼슘배설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원인은 부갑상선기능 항진증인데요. 칼슘의 재흡수를 관장하는 부갑상선 PTH호르몬과 반대로 칼슘의 배출을 담당하는 Calcitonin이라 불리는 갑상선 호르몬의 작동기전에 이상이 생겨 체내 적정한 칼슘농도가 높아져 발생하게 됩니다.
반려동물에서의 고칼슘혈증은 중간연령의 이상의 반려견과 반려묘에서 발병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특히 종양이나 신질환, 부신피질기능 저하증시에서는 고칼슘혈증의 발현빈도가 높습니다.
고칼슘혈증의 진단
고칼슘혈증의 진단 방법은 칼슘 이온화 검사와 부갑상선 검사 2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칼슘은 2가 양이온으로 칼슘의 재흡수를 담당하는 신장의 혈류를 통해 재흡수가 이루어지는데요. 혈중 이온화 칼슘 농도수치를 통해 고칼슘혈증의 진단 유무를 내릴 수있습니다. 보통 반려견의 경우 혈청내 총 칼슘이 11.5mg/dL이상일 때 반려묘는 10.5mg/dL이상인 경우 고칼슘혈증으로 판정하게 됩니다.
부갑상선 검사는 서두에서 언급한 PTH라는 호르몬에 대한 농도검사를 하는데요. 마찬가지로 혈청검사를 통해 혈중 PTH농도를 통해 호르몬 농도가 정상보다 많이 분비되면 혈중 칼슘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고칼슘혈증으로 판정될 수 있습니다.
고칼슘혈증의 증상
주된 고칼슘혈증의 증상은 전신적으로 나타나는데요. 눈에 띄는 증상으로는 식욕부진, 근육위축, 구토, 변비, 빈료 등의 소화기 및 신경계 등의 병이 있을 때와 유사합니다.
고칼슘혈증의 치료
만약 고칼슘혈증의 원인이 부갑상선기능항진증에 있는 것으로 혈청화학검사로 통해 판정되면 다음의 2가지 물리적 치료옵션이 있는데요. 1. 만약 월발성부갑상선증이 원인이면 부갑상선의 일부를 절제하여 호르몬을 물리적으로 조절하게 합니다. 2. 만성신부전이 원인이라면 체내의 칼슘의 농도를 치료제와 식이요법을 통해 조절하게 합니다.
체내의 칼슘의 농도를 줄이기 위해 수액을 공급하는데, 이때 칼슠이 함유된 수액을 피해야하며, 칼슘배출을 위해 이뇨제나 코티코스테로이드 제재를 투여합니다. 때로는 덱사메타손 계열의 클루코코티코이드 제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투여 전에 ACTH 자극검사를 하고난 뒤에 수치가 정상일 경우에 한합니다.
만약 위와 같이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특발성 고칼슘혈증인 경우에는 체내에서 칼슘을 재흡수하는 기능을 지닌 칼시토닌을 억제시키는 칼시토닌 제제나 골흡수 억제를 통해 뼈의 칼슘을 혈액을 내보내는 것을 줄이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로 칼슘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고칼슘혈증의 예방
고칼슘혈증은 서두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갑상선호르몬 이상으로 인해 유발될 수도 있지만, 특발성 고칼슘혈증의 경우에는 식이요법을 통해서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데요.
1. 사료와 간식은 비타민 D가 낮은 것으로 선택합니다. 비타민D는 뼈에서 혈액으로의 칼슘을 내보내는 기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과도한 비타민 D가 함유되어있는 음식은 체내에 칼슘을 쌓이게 만들어 고칼슘혈증을 유발시킬 수있습니다.
2. 음수량 늘려, 조금이나마 체외로 배출되는 칼슘의 양을 체내에 쌓이는 칼슘의 양보다 많게 합니다.
3. 사료 또는 간식 중 산성화 성분은 최대한 거릅니다. 칼슘은 2가 양이온으로 알칼리 성질을 띠고 있는데요. 산성화 성분을 섭취하게 되면, 소위 혈액의 산성화 현상이 발생하여 체내에서는 산과 염기의 평형을 이루기 위해 뼈에 있는 칼슘을 혈액으로 배출시키게 됩니다. 즉 혈중에 칼슘농도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참고로 산성화 성분이라함은 DL-메티오닌, 염화암모늄, 인산등의 영양성분이며 주요 산성식품은 생선이나 달걀, 땅콩, 쿠키, 치즈, 버터, 케이크 등입니다.
'반려견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 질병 - 고관절 이형성증(Hip dysplasia) (0) | 2022.03.08 |
---|---|
반려동물 질병 - 리슈마니아증(Leishmaniasis) (0) | 2022.03.07 |
반려견 질병 - 크립토코커스증 (Cryptococcosis) (0) | 2022.03.05 |
반려견 질병 -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0) | 2022.03.04 |
반려견 질병 - 켄넬코프(Kennel cough complex) (0) | 2022.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