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미노산2 아미노산 트레오닌 (Threonine, T) 트레오닌의 최초 발견 사례 1936년, 미국의 일리노이 대학교 연구실에서 긴장감이 감도는 순간이 있었습니다. 화학자 윌리엄 커밍 로즈(William Cumming Rose)와 그의 연구팀은 단백질의 필수 구성 요소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동물들에게 필수 아미노산이 결핍된 식단을 제공하며, 그들의 성장을 관찰하던 중, 연구팀은 놀라운 발견을 했습니다. 특정 물질을 보충하자, 결핍 증상이 극적으로 개선되었고, 동물들은 다시 건강을 되찾았습니다. 바로 이 물질이 트레오닌으로, 이는 필수 아미노산 중 마지막으로 발견된 성분이었습니다. 동물 성장 연구에서 그 중요성이 극적으로 입증된 순간이었습니다. 트레오닌의 구조와 특징 트레오닌은 화학식 NH₂-CH(OH)-CH(CH₃)-COOH를 가지며.. 2024. 12. 3. 아미노산의 생성과 구조. 아미노산이란?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기본 구성 단위로써, 생명체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유기 화합물 입니다. 화학 구조적으로는 중앙 탄 소 원자에 아미노기(-NH^2), 카복실기(-COOH),수고 원자(H), 그리고 고유한 측쇄 (R기)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측쇄의 종류에 따라 아미노산의 성질과 기능이 결정되며, 자연계에는 20가지의 표준 아미노산이 존재합니다. Easy Note : 아미노산은 우리 몸을 이루는 단백질의 작은 조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근육을 만들고, 상처를 치유하는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일을 하는데, 이러한 단백질들은 작은 블록처럼 생긴 아미노산들이 길게 연결되어 만들어진다. 위의 그림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중앙에 탄소원자(c)가 있.. 2024. 11.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