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면역학 공부18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e)은 비정형 폐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이코플라즈마 세귬에 의해 발생합니다. 마이코플라즈마는 세균임에도 불구하고 세포벽이 없으며, 유연한 세포막으로만 둘러싸여 있어 모양이 유동적입니다. 이 독특한 구조 덕분에 일반적인 세포벽 공격 항생제(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등)가 효과가 없으며, 치료시 특정 항생제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또한, 크기가 매우 작아(0.2~0.8μm) 바이러스와 크기가 비슷해 필터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최근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주목받는 이유는, 최근 몇 년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집단 발병 사례가 보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024년 초 동아시아 지역에서 학교와 학원 등 밀.. 2024. 11. 24. 아미노산 '아르기닌' 아르기닌(Arginine)**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20가지 표준 아미노산 중 하나로, 화학식은 C₆H₁₄N₄O₂입니다. 양전하를 띠는 극성 아미노산으로,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과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구조와 특징 - 구조식 : H₂N-C(NH)-NH-(CH₂)₃-CH(NH₂)-COOH - 측쇄(R기) : 구아니디노기(-C(NH)(NH₂)NH₂) -성질 : 양전하 아미노산: 생리학적 pH에서 양전하를 띱니다. 극성 아미노산: 물에 잘 용해되며,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2. 아르기닌의 역할단백질 합성: 아르기닌은 단백질의 구성 요소로서, 다양한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기여합니다.질소 대사: 요소 회로: 간에서 암모니아를 해독하여 요소를 생성하는 .. 2024. 11. 22. 아미노산 '알라닌' 알라닌(Alanine)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20가지 표준 아민산 중 하나로서, 생명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화학식은 C2H7NO2이며,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가진 아미노산 중 하나입니다. 1. 구조와 특징 - 구조식 : CH3-CH(NH2)-COOH - 측쇄(R기) : 메틸기(-CH3) -성질 : 비극성 아미노산 : 전기적 극성이 없어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습니다. 소수성 : 단백질의 내부 구조를 형성하는데 기여합니다. 2. 알라닌의 생물학적 역할 - 단백질 합성 : 알라닌은 다양한 단백질의 구성 요소로서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입니다. - 에너지 대사 : 글루코스-알라닌 회로: 근육에서 생성된 피루브산과 아미노기가 결합하여 말라닌이 되고, 이는.. 2024. 11. 19. 아미노산의 생성과 구조. 아미노산이란?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기본 구성 단위로써, 생명체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유기 화합물 입니다. 화학 구조적으로는 중앙 탄 소 원자에 아미노기(-NH^2), 카복실기(-COOH),수고 원자(H), 그리고 고유한 측쇄 (R기)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측쇄의 종류에 따라 아미노산의 성질과 기능이 결정되며, 자연계에는 20가지의 표준 아미노산이 존재합니다. Easy Note : 아미노산은 우리 몸을 이루는 단백질의 작은 조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근육을 만들고, 상처를 치유하는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일을 하는데, 이러한 단백질들은 작은 블록처럼 생긴 아미노산들이 길게 연결되어 만들어진다. 위의 그림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중앙에 탄소원자(c)가 있.. 2024. 11. 18. 인체의 면역계 세포와 면역기관 인체에는 여러 종류의 면역계 세포, 기관 및 조직들이 존재합니다. 면역기관은 크게 아래와 같이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림프구가 생성되는 1차 림프기관(Primary lymphoid organ) 다른 말로는 주 면역장기라고도 불리며 1차 림프기관은 주로 면역세포가 만들어 지거나 분화되는 곳, 또는 이렇게 생성된 면역세포들이 이동하여 머물러 있는 장소들입니다. 대표적인 1차 림프 기관으로는 골수(Bone marrow)와 흉선(Thymus)이 있습니다. 골수는 조혈모세포로부터 조혈작용에 의해 면역계 세포인 백혈구는 물론 적혈구와 혈소판 등의 혈액세포들이 분화되는 곳입니다. 흉선은 골수의 조혈모세포로부터 분화된 T세포 전구체가 이동하여 머무르면서 성숙과정을 거치는 장소로써, 항원인식 과정을 거치지 않.. 2022. 5. 23. 초항원(Superantigen)이란? 일반적인 항원과 T세포 간의 MHC-2 분자와 TCR에 의한 결합과정 일반적으로 우리 몸의 적응 면역 체계는 항원(antigen)이 침입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T세포를 생산하게 됩니다. 1. 바이러스와 같은 외인성 항원이 침입하면 수지상 세포나, 대식세포, B림프구와 같은 항원제시세포(APC)의해 삼켜지는 내재화 작용을 하게 됩니다. 2. 항원제시세포에 의해 내재화된 항원은 엔도솜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가 포함된 산성 Ph 하에서 초기 가수분해를 거치는데, 이때 리소좀과 융합하여 포식리소솜을 형성하게 됩니다. 3. 이 같은 가수분해를 거친 단백질 덩어리인 항원은 일련의 펩타이드로 분해됩니다. 4. 한편, 소포체(ER)에서는 MHC-2분자라 불리는 주조직적합성 복합체-2와 불변사슬(iI)라 불.. 2022. 5. 14. 적응면역(Adaptive immunity)이란 이전 글에서 소개한 선천면역에 비해 적응 면역 반응은 특정 항원(antigen)에 대해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면역시스템입니다. 적응 면역(Adaptive immunity)의 특징 선천면역이 자기(self)와 비 자기(non-self)를 구분하여 외부 침입 인자를 인지하고 공격한다면, 적응 면역의 항원 특이성은 여러 항원들 사이의 아미노산 1개의 차이마저도 구분하여 반응할 수 있는데요. 이와 같이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특이면역(specific immunity) 또는 면역반응에 의해 획득되기 때문에 획득면역(acquired immunity)이라고도 합니다. 적응 면역반응은 면역기억(immunity memory)이라는 특성이 있어, 항원에 처음 노출되게 되면, 이후 동일한 항원에 다시 노출되었을 .. 2022. 5. 9. 선천면역(natural immunity)이란 면역(Immumity)과 면역반응(Immune reponse) '면역'이란 단어의 의미를 쉽게 풀이하자면, '질병으로부터의 보호'를 뜻합니다. 우리 몸에 박테리아, 바이러스, 세균 등 외부 침입 인자들이 침입하게 되면 우리 몸을 보호하는 세포와 분자들이 면역계(Immune system)을 구성하면서 바이러스와 세균에 대해 상호 협동 작용을 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면역계의 상호 협동적인 반응을 면역 반응(Immune response)라고 불립니다. 선천면역의 구분 세균이나 바이러스들에 대한 면역 반응은 크게 선천면역(자연면역)반응과 적응면역반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내재 면역'(Innate immunity)라고도 불리는 선천면역은 외부 침입 인자에 감염되기 전부터 본래 가지고 있는 자연면역(natur.. 2022. 5. 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