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정보

부산지역 권역응급의료센터 / 지역의료응급의료센터 목록

반응형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차이점과 역할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응급실을 찾게 되지만, 응급의료기관은 그 역할에 따라 구분됩니다. 특히 권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센터는 중증 및 경증 응급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각각의 기능과 역할이 다릅니다.

권역응급의료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중증 응급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전문 의료기관입니다. 이곳에서는 심장마비, 중증 외상, 뇌졸중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환자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합니다. 권역별로 하나씩 지정되며, 고도의 의료 장비와 숙련된 의료진을 보유하고 있어 신속한 중증 응급 치료가 가능합니다.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는 경증 응급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기관입니다. 해당 지역 내에서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반적인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 센터는 중증환자 발생 시 권역응급의료센터로 환자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경증 환자가 빠르게 치료받을 수 있는 곳이므로 지역 주민들이 자주 찾게 됩니다.

 

 

경증과 중증의 차이: KTAS 등급 기준

응급실에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등급은 환자의 중증도를 1에서 5단계로 나눕니다. 이 등급은 환자의 상태가 얼마나 위급한지를 기준으로 결정되며, 각 등급에 따라 치료 우선순위가 달라집니다.

  1. 1등급 (즉각적인 치료 필요): 생명이 위태로운 상태로 즉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심장마비, 심각한 출혈 등이 해당됩니다.
  2. 2등급 (응급 상황):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기 전에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심한 호흡곤란이나 고위험 뇌졸중 등이 포함됩니다.
  3. 3등급 (위급 가능성): 상태가 점차 악화될 수 있는 환자들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응급 의료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경미한 외상이나 중등도의 통증이 있는 환자들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4. 4등급 (경증): 경증 환자로, 일반적인 의료 처치가 필요하며 긴급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경미한 상처나 경도의 통증 환자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5. 5등급 (비응급): 치료가 필요하지 않거나 외래진료로 충분한 상태입니다. 일반적으로 통원 치료로 해결될 수 있습니다.

 

 

KTAS 등급에 따른 외래진료비 본인부담금

응급실 진료비는 KTAS 등급에 따라 본인부담금이 달라집니다. 중증도가 높을수록 환자의 본인부담금이 낮아지며, 경증일수록 더 많은 비용을 부담하게 됩니다.

  • 1~3등급: 중증 환자에 해당하며, 본인부담금은 낮습니다. 국가 지원을 받으며 환자가 부담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 4등급: 경증 환자이며, 이때부터 본인부담금이 증가합니다. 일반적으로 20~30% 정도의 추가 비용을 환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할 경우, 본인부담금 비율이 90%입니다.
  • 5등급: 비응급 환자로 간주되며, 본인부담금이 가장 높습니다. 응급의료 서비스를 이용한 비용을 환자가 거의 전액 부담하게 됩니다.권역응급의료센터 및 지역응급의료센터 이용시, 본인부담금 비율은 90%입니다. 

이와 같이 KTAS 등급에 따라 진료비 부담이 달라지므로,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적절한 응급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산지역 권역응급의료센터 및 지역응급의료센터 목록

 

권역응급의료센터

번호 기관명 기관분류 의료기관분류 지역 시군구 기관주소(도로명)
1 동아대학교병원 상급종합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부산광역시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26 (동대신동3가)
2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종합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875 (좌동)

 

 

지역응급의료센터

 

번호 기관명 기관분류 의료기관분류 지역 시군구 기관주소(도로명)
1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상급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부산광역시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 감천로 262 (암남동)
2 부산대학교병원 상급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부산광역시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아미동1가)
3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상급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복지로 75, 진사로83번길 81, 1층(일부), 3층 (개금동)
4 대동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부산광역시 동래구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187 (명륜동)
5 비에이치에스한서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부산광역시 수영구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615 (광안동)
6 의료법인 온그룹의료재단 온종합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719, 767, 721, 본관 지하3~5층, 본관 6~11층 전부, 본관 12층 일부, 본관 13~14층 전부, (당감동)
7 의료법인은성의료재단좋은삼선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부산광역시 사상구 부산광역시 사상구 가야대로 326 (주례동)
8 구포성심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북구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대로 1786 (구포동)
9 동남권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기장군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길 40
10 동래봉생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동래구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연로109번길 27 (안락동)
11 부산광역시의료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연제구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359 (거제동, 1동, 5동일부)
12 부산성모병원(재단법인 천주교부산교구유지재단)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232번길 25-14 (용호동)
13 삼육부산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 대티로 170 (서대신동2가)
14 영도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영도구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85 (대교동2가)
15 의료법인 광혜의료재단 광혜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동래구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96 (온천동, 광혜병원)
16 의료법인 센텀의료재단 센텀종합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수영구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679번길 8 (광안동)
17 의료법인 은성의료재단 좋은강안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수영구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493 (남천동)
18 의료법인 인당의료재단 부민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북구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대로 59 (덕천동)
19 의료법인 인당의료재단 해운대부민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584 (우동)
20 의료법인 행도의료재단 해동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영도구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133 (봉래동3가)
21 의료법인정화의료재단 봉생기념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401 (좌천동, 봉생병원)
22 재단법인천주교부산교구유지재단 메리놀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중구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121 (대청동4가)
23 좋은문화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로 119 (범일동)
24 학교법인 춘해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605, 지상1층~지상9층 (범천동)
25 학교법인)동의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로 62, 지상2ㆍ3ㆍ10층 각 일부/ 지하1ㆍ지상1ㆍ지상4~지상8층 전층 (양정동)
26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부산보훈병원 종합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사상구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 420 (주례동)
27 (의)서일의료재단기장병원 병원 지역응급의료기관 부산광역시 기장군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청로72번길 6

 

반응형

댓글